한국 기업은 중국 생활 서비스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아시아 경제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결혼, 미용, 세탁 서비스 등 생활 서비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한국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중국 생활 서비스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아시아경제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결혼식서비스, 세탁서비스 등 생활서비스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기회도 확대되고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7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중산층 증가로 결혼 · 미용 · 포장이사 · 빨래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시장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생활서비스 시장은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는 지식서비스업과 달리 시장 진입 규제가 없어 한국 기업들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다.

중국 웨딩산업의 경우 2013년 21조원 시장 규모에 수익률이 17~50% 수준이다.2012년에만 한국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1300만쌍이 결혼식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1980년대 이후 출생자들의 결혼 적령기가 시작되면서 웨딩 산업의 수요가 커지고 있지만 이렇다 할 웨딩 업체는 없다.규모를 과시하기 좋아하는 중국에서 한국의 웨딩 서비스에 대한 부유층의 선호도가 높아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성공 확률이 높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지난해 상하이에 웨딩스튜디오를 차린 아이웨딩 관계자는"중국 스튜디오보다 기술과 효과가 뛰어나 가격이 비싸도 한국 웨딩 촬영업체를 선호하는 중국 고객들이 많다"고 말했다.

또 헤어스타일과 스파, 미용 등 미용 서비스 시장도 연평균 12.6%씩 성장하고 있지만 한국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경험과 자본 부족으로 대규모 확장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중국에 입주한 이가자디자인센터의 경우 체인점 영업보다는 트레이닝 수익이 주 수입이다.

중국 세탁서비스와 포장이삿짐 서비스의 외자기업도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고 발전 잠재력이 매우 좋다. 이미 미국, 프랑스, 독일 등의 관련 서비스 기업이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했지만 한국 기업은 아직 성공한 사례가 없다.

무역연구원 박필재 수석연구원은"중국 생활서비스 시장은 진입 장벽이 없고 수량도 많지 않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서비스업 확대를 위해서는 사모펀드 등 벤처자본 서비스업의 유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서비스업 사모펀드의 수익에 대해 세제 혜택 등 한시적 부양책을 도입해야 한다.

아시아경제 판권소유